고조선이 중국의 한나라와 싸우고 있을 무렵, 만주와 한반도에는 고조선 외에도 부여, 고구려, 동예, 옥저, 삼한과 같은 여러 나라가 있었습니다. 이 나라들은 모두 철기 문화를 받아들여 자신들의 세력을 키워나가고 있었습니다. 이중에서는 부여는 고조선이 멸망한 뒤 만주 일대에서 가장 부강한 나라로 손꼽혔습니다. 삼한은 한반도 남부에 자리잡은 마한, 진한, 변한을 말하는데 삼한의 풍습은 서로 비슷했습니다. 동예와 옥저의 풍습은 부여나 고구려와 비슷했을 것으로 짐작됩니다.
동예와 옥저는 날로 강대해져 가는 고구려의 공격을 받은 후 그 지배를 받다가 결국 고구려로 흡수되었으며 삼한은 백제와 신라, 가야로 발전했습니다.
부여는 어떤 나라일까?
부여는 백두산 천지에서 시작되어 만주로 흐르는 쑹화 강 주변의 넓은 평야를 중심으로 세워진 나라입니다.
부여의 기원 및 건국 시기는 정확히 알 수 없지만 고조선이 멸망하기 전인 기원전 3세기경이라고 합니다. 부여는 우리나라 역사에 고조선에 이어 두 번째로 등장하는 나라입니다.
부여의 수도에 대해서는 여러 의견이 있습니다. 지금의 만주 지린 시였다고도 하고 그보다 서쪽에 있는 창춘,눙안 일대였다고도 합니다. 다만 지린 시에 있는 동단산 남성자에서는 부여의 유적과 유물들이 많이 발전되어 이곳이 왕성이 있던 자리라는 의견에 무게를 실어 주고 있습니다.
부여에도 건국신화가 있습니다. 부여의 건국신화에 따르면 부여를 세운 사람은 동명입니다. 동명은 탁리국 왕의 시녀가 낳은 알에서 태어났는데 활을 아주 잘 쏘았다고 합니다. 그는 자기를 시기하는 사람들을 피해 남쪽으로 도망을 쳐서 부여를 세웠습니다.
동명의 이야기는 고구려를 세운 주몽의 이야기와 아주 비슷합니다. 알에서 태어났고 활을 잘 쏘고 남쪽으로 내려올 때 강물을 만나 물고기와 자라들이 다리를 만들어 거너게 해 주었다는 등 서로 같은 내용이 많습니다. 그 이유는 고구려가 부여에서 가라져 나온 사람들이 세운 나라이기 때문입니다. 그러므로 부여는 고구려의 조상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그래서 부여에서 갈라져 나온 고구려는 부여의 건국신화인 동명의 이야기와 비슷한 건국신화를 가지게 된 것입니다.
동예와 옥저 역시 고구려와 마찬가지로 부여에서 갈라져 나온 사람들이 세운 나라였습니다. 또한 백제를 세운 사람들도 자기들의 조상을 부여라고 생각했습니다. 그래서 백제의 왕족은 스스로 성을 부여씨라고 했습니다. 뿐만 아니라 백제의 마지막 도읍지였던 사비성(지금의 충청남도 부여)은 지금도 부여라고 불리고 있습니다. 따라서 부여는 우리나라 역사에서 매우 중요한 나라라고 할 수 있습니다.
4명의 가가 다스리는 사출도
1세기 초부터 부여에서는 왕이라는 칭호를 사용했으며 중국과 외교 관계를 맺는 등 국가로서의 발전된 모습을 보였습니다. 부여에 관한 중국의 기록을 보면 "49년 부여왕이 후한에 사신을 보내자, 후한의 공무제가 두터이 보답해 이후 매년 사신을 보내게 되었다."고 <후한서> '동이전'에 기록되어 있습니다.
부여에는 왕 밑에 마가, 우가, 저가, 구가라는 관리들이 있었습니다. 마가는 말, 우가는 소, 저가는 돼지, 구가는 개에서 나온 이름으로 가는 '귀인', '대인'이라는 뜻입니다. 이처럼 관리들의 이름을 동물과 관련지어 부른 것으로 보아, 부여에서 목축을 상당히 중요하게 생각했던 것을 알 수 있습니다.
4명의 가는 각각 넷으로 나누어진 행정 구역을 다스렸습니다. 이 4개의 행정 구역을 '사출도'라고 합니다. 부영의 행정 구역은 사출도와 왕이 직접 다스리는 중앙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왕이 직접 다스리는 중앙에는 궁궐, 성채가 감옥, 창고 등이 있었습니다.
4명의 가는 그 세력이 상당히 강력해서 왕을 추대하기도 하고 왕이 잘못하면 쫓아낼 수도 있었습니다. 왕에게 뒤를 이을 아들이 없으면 가들이 의논하여 적당한 인물을 왕으로 세웠으며 가뭄이나 홍수로 흉년이 들면 왕에게 책임을 물어 자리에서 물러나게 했습니다. 나라의 중요한 일들을 왕과 가들이 모여 회의를 통해 결정하고 결정된 내용은 대사, 대사자, 사자라고 불리는 관리들이 집행했습니다.
부여의 사회 구성은 크고 작은 군장 세력이자 중앙 관리인 '가'와 그들 밑의 중간 관리층인 '호민'이 지배층이었습니다. 지배층인 가와 호민은 '하호'라고 부리는 백성들을 다스려 나갔습니다. 하호들은 평소 마을에 살면서 가축을 기르거나 농사를 지었습니다. 그러다가 전쟁이 일어나면 가들은 하호들을 이끌고 나가 싸웠습니다.
*부여를 가리키는 여러가지 말
옛날 역사책과 비석에 새겨진 비문에는 북부여, 동부여, 졸본 부여 등 부여가 여럿 나온다
그중 북부여는 탁리국에서 온 동명이 세운 부여를 말한다. 그냥 부여라고도 한다. 동부여는 285년 부여가 선비족의 침입을 받았을 때 부여의 한 세력이 동쪽에 있는 옥저 지방으로 옮겨가 세운 나라이다. 동부여는 410년 고구려 광개토 대왕에 의해 멸망했다. 졸본 부여는 부여(또는 북부여)에서 온 주몽이 졸본에 도착하여 고구려를 세운 곳이다.
백제의 성왕은 사비성으로 수도를 옮긴 뒤 한때 나라 이름을 남부여라고 했다. 백제의 뿌리는 부여에서 나왔다는 것을 강조하기 위해서였다.
'한국역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옥저와 동예 그리고 삼한 (0) | 2023.05.23 |
---|---|
부여 사람들 (0) | 2023.05.13 |
고조선, 동아시아의 강국 그리고 멸망 (0) | 2023.04.27 |
고조선 사람들 (0) | 2023.04.26 |
최초의 나라 고조선 (0) | 2023.04.24 |